What is language?
인간이 가진 언어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음성학적 관점에서 모음과 자음의 체계를 소개하기 위해, 사람의 발성기관인 성대와 구강, 비강 구조를 설명합니다. 또한 자음이 조음(articulation)되는 장소(place of articulation)와 방법(manner od articulation)과 함께 모음발화를 위한 혀의 높이(height)와 혀의 위치(backness)에 따른 모음종류도 소개합니다.
What is language?
언어란 무엇인가?
인간 언어는 신호 체계입니다. 문자 언어는 이차적이고 파생된 형태입니다.
각 개인의 역사에서, 말하거나 신호를 사용하는 능력은 쓰기를 배우기 전에 습득되며, 인류의 역사에서도 이와 마찬가지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말은 있지만 글이 없는 공동체는 존재하지만, 말하거나 신호를 사용하는 언어 없이 문자 언어만 존재하는 인간 공동체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Vocal sounds
언어를 구성하는 음성은 다양한 발화 기관에 의해 생성된다. 음성을 내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는 주로 횡격막과 가슴 근육에 의해 공급되어 폐에서 공기가 위로 흐르게 한다. 일부 언어는 추가적인 에너지 원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혀의 근육 움직임으로 클릭 소리를 내거나, 볼과 입술의 움직임으로 팝 소리를 내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소리는 일부 아프리카 언어에서 발견된다. 또한, 공기를 폐로 들이마시는 방식으로 짧은 발화를 할 수도 있지만, 영어에서는 주로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을 사용하며, 이 공기는 입과 코를 통과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된다.
- 발성 과정
- 폐에서 나온 공기는 후두의 성대를 통과한다. 성대는 기도에 위치한 작은 입술 같은 구조로, 완전히 닫혀 공기가 막히거나, 완전히 열려 공기가 자유롭게 흐르게 하는 등 다양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 성대가 중간 위치에서 진동하면, 오보에나 바순의 리드처럼 **음정(voice)**을 생성한다. 이 음정은 높낮이(pitch)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영어 문장의 특징적인 억양을 형성한다.
- 성대가 진동하여 생성되는 소리는 **유성음(voiced sounds)**이라 하고, 진동 없이 생성되는 소리는 **무성음(voiceless sounds)**라 한다.
- 예: v(유성음)과 f(무성음)는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지지만, 성대 진동 여부만 다르다.
- 다른 예: z와 s, this(ð)와 thing(θ), pleasure(ʒ)와 washer(∫).
- 성대는 노래, 속삭임, 가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으나, 발화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위치는 유성음과 무성음이다.
- 공기의 경로
- 공기가 성대를 통과한 후, 입, 코, 또는 양쪽을 통해 나간다.
- 입천장의 뒤쪽에 위치한 **연구개(soft palate)**는 위아래로 움직이며 비강(코로 통하는 길)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 입은 입술이나 혀를 이용해 막을 수 있다.
3. 모음(vowel) 소리는 성대를 진동시켜(유성음) 공기가 입안의 장애 없이 자유롭게 빠져나가도록 한다. 만약 비강(코로 통하는 길)이 열려 있으면 프랑스어 bon (‘좋은’)이나 brun (‘갈색’) 같은 **비음 모음(nasal vowel)**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영어 모음의 경우, 보통 비강은 닫혀 있다(다만, 일부 미국 화자들은 비강을 약간 열어 둬서 비음적인 ‘콧소리’를 내는 경향이 있다).
4. 모음의 **음질(quality)**은 혀, 아래턱, 입술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구강)의 모양을 변화시킨다. 공간의 모양이 달라지면 공기의 **공명(resonance)**도 달라진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혀이다.
- 혀의 일부를 들어 올리면, 입안은 크기가 다른 두 개의 공간(앞쪽과 뒤쪽)으로 나뉜다. 모음의 음질은 이 두 공간의 상대적 크기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 따라서 특정 모음 소리를 설명하려면, 혀의 가장 높은 부분의 위치를 명시해야 한다. 이는 혀의 높이(open, half-open, half-close, close)와 후방 이동 정도(front, central, back)로 나타낼 수 있다.
- 손가락을 입안에 넣거나, 손전등과 거울을 사용해 보면 모음에 따라 혀가 어떻게 위치를 바꾸는지 확인할 수 있다.
모음 소리를 만드는 혀의 다양한 위치는 **모음 도표(vowel diagram)**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도표는 입안을 왼쪽에서 본 단면도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특정 모음을 나타내는 점은 혀의 가장 높은 위치를 표현한다. 그림 2는 영어의 12개 모음을 보여주는 모음 도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 도표는 일반적으로 ‘표준 발음(Received Pronunciation, RP)’이라 불리는 억양을 기반으로 한다. RP는 역사적으로 잉글랜드 남부의 이튼(Eton)이나 해로우(Harrow) 같은 공립학교를 다닌 사람들의 발음으로, 한때 영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억양으로 여겨졌다. RP는 여전히 영어 교육과 참고 발음으로 사용되지만, 오늘날 실제로 이 억양을 사용하는 사람의 비율은 매우 적은 것으로 계산된다.
RP는 남동부 잉글랜드의 일반 교육받은 억양과 유사하지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모음의 음질은 또한 입술의 위치에 영향을 받는다. 입술은 넓게 벌리거나, 중립적으로 유지하거나, 더 혹은 덜 둥글게 오므릴 수 있다. 대부분의 영어 방언에서는 입술을 둥글게 하는 것이 독립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데, 이는 뒤쪽 네 개의 모음에서 자동적으로 동반되기 때문이다. 입술의 둥글기의 정도는 모음의 밀도(closeness)에 따라 직접적으로 변한다. 거울과 모음 도표를 사용하면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지만, 스코틀랜드나 아일랜드 출신이라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언어에서 이런 방식이 적용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lune의 u는 영어 lean의 ea와 비슷한 혀 위치에서 만들어지지만, 둥글게 오므린 입술을 사용해 매우 다른 소리를 낸다.
모음은 길이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영어 모음은 각각 길이가 다르며, 크게 장 모음(long vowels)과 단 모음(short vowels)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 단 모음: pick, peck, pack, put, cut, cot에서 들을 수 있으며, 또한 father의 er와 about의 a에서 들을 수 있는 (ə)도 포함된다.
모음 도표(그림 2)는 모음이 발음되는 동안 발음 기관이 고정된 상태를 가정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발음 기관이 소리 중에 위치를 바꾸는 모음도 있으며, 이를 활음(glides) 또는 **이중모음(diphthongs)**이라 한다.
- 예: boy의 모음은 발음 기관이 saw의 모음 위치에서 시작해 bit의 모음 위치로 거의 즉시 움직이지만, 반드시 그 위치에 도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소리가 나는 동안 대부분의 시간에 발음 기관은 움직이고 있으며, 초기 위치에 잠시 머무른 후에 활음(gliding movement)이 시작되기도 한다.
- 영어의 다른 이중모음: hide, house, make, home, hare, here, poor에서 들을 수 있다. 다만, 미국 일부 지역, 스코틀랜드 또는 북부 잉글랜드에서는 home 등 몇몇 단어에서 순수 모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모음 도표에서 이중모음은 화살표로 나타나며, 그림 3에서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중모음의 정의는 **소리(sound)**와 관련된 것으로, **철자(spelling)**와는 관계가 없다.
- 일반적으로 cause의 au나 mediæval의 æ를 이중모음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이 정의에 따르면 이중모음이 아니다. 이들은 단순히 철자상으로 두 글자(이중자 au, 결합자 æ)로 표시된 **순수 모음(pure vowels)**일 뿐이다.
- 반대로, 이중모음은 한 글자로 표기될 수도 있다. 예: fly의 y.
우리는 이중모음(diphthongs)을 두 개의 모음 소리의 조합이 아니라 단일 모음 소리로 언급해 왔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한 가지 타당한 이유는, 이중모음이 하나의 음절만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음절은 발화 연쇄(chain of utterance)에서 두드러진 정점(peak)으로, 만약 화자의 음향 출력(acoustic power output)을 시간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면, 출력이 계속해서 오르내리며 작은 정점과 골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정점이 바로 음절이다.
예를 들어, lair와 here는 각각 하나의 정점만 형성하며, 따라서 음절이 하나이다. 반면, player와 newer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정점으로 발음되며, 두 음절을 포함한다. 따라서 face처럼 하나의 음절을 형성하는 이중모음과 helium처럼 두 음절을 형성하는 두 개의 모음의 연쇄(sequence)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중모음은 모음과 반모음(semivowel, 비음절 활음)(예: yes의 y)의 조합으로 분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분석 방식은 특히 미국의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된다.
* 미국영어와 영국영어에서 이중모음을 정의하는 방법이 다른것은 실제 발음이 다르기 때문이다. 처음 영어 음성학을 배울때 이부분이 생각보다 이해가 어려웠다. 박사 자격시험에 diphthong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문제가 나왔었다. 물론 미국에서 음성학을 공부하신 미국학풍을 따르는 분을 지도교수로 두었고, 교재역시 미국언어학자의 책이었기 때문에 미국식 정의를 내렸던 기억이 떠올랐다.
'영어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는 누가 만들었어요?" (4) | 2025.04.25 |
---|---|
Structure of English (영어의 구조) (0) | 2025.04.07 |
영어의 역사(3): 1. What is language? (1) (1) | 2025.01.10 |
영어의 역사(2) (2) | 2025.01.10 |
영어의 역사(1) (1) | 2025.01.10 |